-
목차
1. 공급사용표(SUT)의 개념과 역할
공급사용표(Supply and Use Table, SUT)는 한 국가의 경제 활동을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국민계정체계(SNA)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경제의 생산과 소비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급사용표는 특정 기간 동안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공급 및 사용 현황을 기록하여 경제 내 흐름을 분석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기업, 정부, 가계 등 경제 주체들이 어떻게 경제활동을 수행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경제정책 수립과 산업 구조 분석에도 활용된다.
2. 공급사용표와 국민계정체계(SNA)의 관계
공급사용표는 국민계정체계(SNA, System of National Accounts)의 일부로, 국가의 경제 활동을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국민계정체계는 한 국가의 경제를 통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을 제공하며, 국내총생산(GDP), 국민소득(GNI), 국민대차대조표 등의 다양한 통계를 포함한다. SUT는 이러한 통계가 보다 정교하고 정확하게 산출될 수 있도록 생산 및 소비 활동의 세부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며, 산업 간 투입-산출 관계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공급사용표의 구성 요소와 활용
공급사용표는 크게 공급표(Supply Table)와 사용표(Use Table)로 나뉜다. 공급표는 특정 산업이 제공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총량을 기록하며, 국내 생산뿐만 아니라 수입된 재화와 서비스도 포함된다. 반면, 사용표는 이러한 상품과 서비스가 어디에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며, 소비, 투자, 정부 지출 및 수출 등의 경제 활동을 포함한다. 공급사용표를 활용하면 특정 산업이 경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경제 성장의 동인 및 취약점을 파악할 수 있다.
4. 국민대차대조표와 공급사용표의 연계
국민대차대조표(National Balance Sheet)는 국가의 자산과 부채를 기록하는 보고서로, 공급사용표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공급사용표가 특정 기간 동안의 경제 활동을 기록하는 반면, 국민대차대조표는 일정 시점에서 경제 주체들의 자산과 부채 상황을 나타낸다. 공급사용표를 통해 경제 성장 과정에서 형성된 부가가치와 소득 흐름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국민대차대조표와 연계하여 국가 경제의 지속 가능성과 금융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공급사용표는 경제 분석 및 정책 수립에 필수적인 자료로 활용되며, 국민계정체계(SNA) 및 국민대차대조표와 함께 국가 경제를 이해하는 중요한 도구로 작용한다.
연관검색어로는 : 국민계정체계(SNA), 국민대차대조표
'경제 금융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매도: 주식 시장에서의 역할과 영향 (0) 2025.03.17 공급탄력성(Supply Elasticity)의 이해 (0) 2025.03.17 공공재(Public Goods)의 개념과 특징 (0) 2025.03.16 공개시장운영(Open Market Operations)의 이해 (0) 2025.03.16 골디락스 경제(Goldilocks Economy)에 대한 이해 (0) 2025.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