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융 용어
부가가치기준 무역(TiVA): 글로벌가치사슬 시대의 무역 분석 혁신
1. TiVA의 개념과 도입 배경전통적인 무역 통계는 상품의 최종 수출입액만을 기록하며, 이 과정에서 중간재의 반복적인 국경 이동이나 다국적 생산체계의 구조를 반영하지 못한다. 이러한 한계는 글로벌가치사슬(GVC, Global Value Chains)이 확산되면서 더욱 뚜렷해졌으며, 실제 경제 기여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낳았다. 이에 따라 TiVA(Trade in Value Added, 부가가치 기준 무역) 개념이 등장하였다. TiVA는 수출품 또는 수입품의 총액이 아니라, 그 안에 포함된 각국의 순수한 부가가치 창출분을 기준으로 무역을 측정하는 방식이다.예를 들어 한국이 1,000달러의 스마트폰을 미국에 수출한다고 해도, 그 제품에 들어간 일본 센서(200달러), 대만 칩셋(150달러),..